로 시작하는 여섯 글자 이상의 단어: 13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39개 세 글자:81개 네 글자:85개 다섯 글자:14개 🍹여섯 글자 이상: 13개 모든 글자:333개

  • 간 거리 격자 : (1)모나 묘목을 옮겨 심을 때 묘목 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척도로 사용하는 격자판. 일정한 간격으로 심을 수 있도록 눈금이 표시되어 있다.
  • 기백출하다 : (1)갖가지 묘기가 쏟아져 나오다.
  • 당도 이충무공 유적 : (1)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면에 있는 이순신의 전승(戰勝) 유적. 이순신이 명나라 장수 진린(陳璘)과 연합하여 왜군을 물리쳤던 곳이다. 사적 정식 명칭은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이다.
  • 당품처하다 : (1)조정에서 임금에게 아뢰어 처리하다.
  • 대 일수 감응도 : (1)못자리 기간에 따른 불시 출수의 발생 정도에 대한 품종의 감응 정도. 못자리 기간이 너무 길어지거나 온도가 높아 불량 환경이 조성될 경우, 벼는 못자리 기간에 영양 생장에서 생식 생장으로 전환하여 이삭의 원기를 만들고 밑동의 절간이 신장하기 시작한다. 이런 현상이 본답에 이앙한 벼의 출수기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데, 품종에 따라 정도가 달라진다. 기본 영양 생장성이 짧고 감온성이 예민한 극조생종일수록 불시 출수가 심하다.
  • 법연화경언해 : (1)조선 세조 9년(1463)에 황수신(黃守身), 윤사로(尹師路) 등이 왕명에 따라 묘법연화경을 한글로 풀이한 책. 간경도감에서 펴냈다. 7권.
  • 사유파하다 : (1)벼슬아치가 묘시(卯時)에 출근하였다가 유시(酉時)에 퇴근하다.
  • 사적 심상 기법 : (1)어떤 시적 대상을 객관적이고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묘사의 방법이나 감각적인 수식어를 사용하여 사물의 영상을 직접 드러나게 한 심상.
  • 사적형용어 : (1)주로 체언의 앞에서 대상의 특성을 묘사하는 단어나 표현. ‘파아란 새싹’에서 ‘파아란’, ‘출렁이는 파도’에서 ‘출렁이는’ 따위이다.
  • 지 관련 시설 : (1)화장장과 납골당 등과 같이 묘지에 부수되는 건축물이 포함된 시설.
  • 창해지일속 : (1)넓고 푸른 바다에 한 알의 좁쌀이라는 뜻으로, 매우 큰 것 속에 아주 작고 보잘것없는 것이 끼어 있음을 이르는 말. 또는 넓은 세상에 사는 하나의 작은 인간을 이르는 말.
  • 판 일수 감응도 : (1)못자리 기간에 따른 불시 출수의 발생 정도에 대한 품종의 감응 정도. 못자리 기간이 너무 길어지거나 온도가 높아 불량 환경이 조성될 경우, 벼는 못자리 기간에 영양 생장에서 생식 생장으로 전환하여 이삭의 원기를 만들고 밑동의 절간이 신장하기 시작한다. 이런 현상이 본답에 이앙한 벼의 출수기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데, 품종에 따라 정도가 달라진다. 기본 영양 생장성이 짧고 감온성이 예민한 극조생종일수록 불시 출수가 심하다.
  • 화 프로그램 : (1)컴퓨터 그래픽스에서, 이차원 도형을 다루는 도형 처리 프로그램의 하나.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9개) : 마, 막, 만, 맏, 말, 맑, 맗, 맘, 맛, 망, 맞, 맡, 맣, 매, 맥, 맨, 맬, 맴, 맵, 맹, 먀, 머, 먹, 먻, 먼, 멀, 멈, 멋, 멍, 멎, 메, 멕, 멘, 멜, 멤, 멧, 멩, 멫, 며, 멱, 면, 멸, 몀, 몃, 명, 몇, 모, 목, 몫, 몬, 몯, 몰, 몱, 몸, 못, 몽, 뫃, 뫼, 뫽, 묄, 묌, 묏, 묗, 묘, 묫, 무, 묵, 묶, 문, 물, 뭀, 뭄, 뭇, 뭉, 뭍, 뭐, 뭔, 뭘, 뭣, 뭬, 뮈, 뮐, 뮤, 뮬, 므, 믄, 믈, 믐, 믜, 미, 믹, 민, 밀, 밇, 밈, 밋, 밍, 및, 밑

실전 끝말 잇기

묘로 끝나는 단어 (376개) : 백화묘, 단실묘, 천연생묘, 무묘, 섬묘, 점묘, 가묘, 패묘, 적묘, 야냉 육묘, 경묘, 죽엽묘, 표묘, 문선왕묘, 부자묘, 훼묘, 독신묘, 맨뿌리묘, 목관묘, 행운유수묘, 여묘, 냉상 육묘, 유간묘, 이묘, 두묘, 무성묘, 동물 소묘, 민진후 묘, 암굴 분묘, 성형묘 ...
묘로 끝나는 단어는 376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묘로 시작하는 여섯 글자 이상 단어는 13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